차고스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고스 제도는 몰디브 남쪽에 위치한 여러 산호암 구조물로 이루어진 군도이다. 16세기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18세기부터 주민이 정착하여 1814년 영국령이 되었고, 1965년 모리셔스로부터 분리되어 영국령 인도양 지역(BIOT)으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차고스 제도 원주민인 일로아인들은 미국과 영국 정부에 의해 강제로 이주당했으며, 현재까지도 귀환권을 요구하고 있다. 차고스 제도는 세계 최대 산호 환초인 그레이트 차고스 뱅크를 포함하여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2010년 해양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모리셔스는 차고스 제도의 반환을 요구하며,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해양법재판소에서 영국에 대한 권고적 의견 및 판결이 있었지만, 영국의 통치는 계속되고 있다.
몰디브에서는 예로부터 차고스 제도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몰디브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사람이 거주하지 않았다. 16세기에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18세기부터 주민이 정착하여 1814년부터 영국령이 되었다. 영국령 모리셔스의 관할로 통치되었지만, 1965년에 모리셔스로부터 분리되었다. 1968년에 모리셔스가 독립한 후에도 영국령으로 남았다.
모리셔스 정부는 모리셔스인과 차고스 제도 원주민의 동의 없이 모리셔스로부터 차고스 제도가 분리된 것은 불법이라며 국경선신성의 원칙(Uti possidetis juris)에 따라 차고스 제도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25] 유엔 총회는 국제사법재판소에 권고적 의견을 내려달라고 요구하였고, 2019년에 영국은 차고스 제도에 대한 통치를 하루빨리 종료하라는 권고적 의견이 나왔다.
2. 역사
1965년, 차고스 제도는 영국령 모리셔스의 일부였으며, 모리셔스는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다. 이 해, 당시 영국의 외무장관이었던 마이클 스튜어트와 후에 모리셔스의 총리가 된 시우사갈 랑구람 사이의 비밀 합의(밀약)로 차고스 제도를 분리하는 것을 조건으로 모리셔스가 염원하던 독립을 달성했고[101], 또한 차고스 제도와 교환으로 영국이 모리셔스에 400만파운드를 지불하기로 결정했다.
20세기 중반에는 주민이 약 2,000명이었지만, 1967년부터 1973년에 걸쳐 모리셔스로 강제 이주당했다. 1966년 영미 간의 합의에 따라 차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가진 디에고가르시아섬이 50년간 미국의 군사 시설로 사용되기로 했다. 그 후 20년 연장도 인정되었으며, 실제로 2016년부터 20년 연장이 이루어졌다. 미국이 섬의 모든 주민을 추방할 것을 요구하여, 1968년부터 1974년에 걸쳐 영미에 의해 추방 정책이 실시되었다.[102]
2019년에 "차고스 제도의 Séga tambour프랑스어"는 유네스코의 무형 문화유산(등록국: 모리셔스)으로 등록되었다.[103]
2. 1. 영국령 인도양 지역(BIOT) 설립과 강제 이주
1965년 영국은 당시 자치령이었던 모리셔스로부터 차고스 제도를 분리하여 영국령 인도양 지역(BIOT)을 설립했다.[30] 이는 미국이 이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할 수 있는 영국 영토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66년 미국과 영국은 비밀 협정을 맺고 디에고가르시아섬에 미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정에 따라 미국은 50년 동안 BIOT의 섬들을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6년에 20년 연장이 이루어졌다.[102]
이 과정에서 1967년부터 1973년까지 차고스 원주민들은 모리셔스와 세이셸로 강제 이주당했다.[34] 1971년 디에고가르시아섬에 미군 기지가 건설되었고, 이후 미5함대 주둔지가 되었다.[111]
위키리크스에 따르면, 2010년 영국이 차고스 제도 주변 해역을 해양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것은 해양 보호가 아닌, 어업 활동 등을 금지하여 섬에서의 생활 기반을 없애 차고스 제도 주민의 귀환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102]
2. 2. 강제 이주에 대한 비판과 논란
1966년 영국 정부가 차고스 제도의 디에고가르시아섬에 미군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미국과 50년 임대 비밀 협정을 체결하면서, 1967년부터 1973년까지 차고스 제도 주민들은 모리셔스와 세이셸로 강제 이주당했다.[111] 이러한 강제 이주는 인권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국 외교 문서에 따르면, 영국 정부 고위 외교·연방부(FCO) 관계자는 2009년 5월 12일 런던 주재 미국 대사관 정무참사관에게 영국령 인도양 지역(BIOT)의 암초와 해역에 대한 포괄적인 환경 보호를 제공하는 해양공원 또는 보호구역을 설립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차고스 제도 전체가 해양보호구역이 되면 차고스 제도의 옛 주민들이 섬으로 재정착하려는 주장을 추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100]
특히, 1966년 데니스 그린힐이 서명한 외교 문서를 통해 영국 정부가 차고스인들을 '타잔'이나 '금요일' 등으로 지칭하며 비인간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2000년 영국 최고 법원(상원)은 “차고스 제도 주민 추방은 불법이며, 디에고가르시아섬 이외의 섬으로의 귀환을 허용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2004년 영국 정부는 추밀원을 이용하여 왕실의 특권을 사용해 이 판결을 무효화했다.[102]
3. 영토 분쟁
1965년 영국은 모리셔스로부터 차고스 제도 전체를 300만파운드에 매입하여 영국령 인도양 지역(BIOT)을 설립했다.[30] 이는 미국이 이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수행할 영국 영토를 확보하기 위한 의도였다. 1966년 미국과 영국은 각서를 교환하여 미국이 50년 동안(2016년 12월까지) BIOT의 어떤 섬이든 방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을 체결했다.[30] 이후 20년간의 선택적 연장(2036년까지)이 가능하며, 양측은 2014년 12월까지 합의해야 했다.
1967년부터 1973년 사이에, 차고스 제도 주민들은 디에고가르시아에 미-영 합동 군사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섬에서 강제로 이주되어 모리셔스와 세이셸로 이송되었다.[34]
모리셔스는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원주민들이 귀환을 요구하며 법정 투쟁 등을 계속하는 등 영국과의 영유권 분쟁이 계속되었다. 2010년 12월 20일, 모리셔스는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에 따라 차고스 제도 해양보호구역(MPA)의 합법성에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영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41]
2015년 3월 18일, 상설중재재판소는 영국이 2010년 4월 차고스 제도 주변에 설정한 해양보호구역(MPA)이 국제법을 위반한다고 만장일치로 판결했다. 아네루드 주그노 모리셔스 총리는 이것이 차고스 제도와 관련된 영국의 행위가 국제 법원이나 재판소에 의해 처음으로 고려되고 비난받은 사례라고 지적했다.[98][99]
2016년 11월, 영국은 차고스 제도 주민의 귀환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재차 밝혔다.[46]
2024년 10월 3일, 영국 정부는 차고스 제도를 모리셔스에 반환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디에고가르시아 섬에 있는 미영군 기지는 계속 유지되고, 영국이 99년간 보유한다.[110]
3. 1. 국제사법재판소(ICJ) 및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판결
2000년 영국 최고 법원(영국 상원)은 차고스 제도 주민 추방이 불법이며 디에고 가르시아 섬 이외의 섬으로 귀환을 허용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2004년 영국 정부는 영국 추밀원을 이용하여 이 판결을 무효화했다.[102]
2019년 2월 25일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영국은 차고스 제도의 통치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종결시키고 모리셔스가 자국 영토의 비식민지화를 완료할 의무가 있다"는 권고적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모리셔스 독립 후에도 영국이 통치를 계속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판단했다.[104][105] 이 권고에는 구속력이 없지만, 모리셔스와 원주민들은 환영했고 영국은 반론을 제기했다.[104] 5월 22일 유엔 총회는 영국에 대해 "6개월 이내에 차고스 제도의 식민지 통치를 종결하고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찬성 116, 반대 6, 기권 56).[106] 2019년 11월 22일 영국 정부는 차고스 제도의 통치가 정당하다며 유엔 결의안 수용을 거부했다.[107]
2021년 1월 28일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는 모리셔스와 몰디브의 해상 경계 사건 심의 중 영국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모리셔스에 반환하도록 판결했다.[108]
3. 2. 몰디브의 입장
몰디브는 차고스 제도 주변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에 대한 영국의 주장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차고스 제도가 거주지가 되면 몰디브의 배타적 경제수역 확장에 대한 몰디브의 주장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38] 2024년, 몰디브 민주당은 몰디브 정부가 차고스 제도에 대한 몰디브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3. 3. 한국의 입장
한국 정부는 차고스 제도 분쟁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영국의 식민 지배 정책을 비판하며, 차고스인들의 귀환을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 언론은 차고스 제도 분쟁을 보도하면서, 영국의 식민 지배 유산과 강대국의 이익 추구 행태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4. 지리
(다른 이름)
70°14 ~ 72°37 E